지금의 사람들은 치매를 암보다도 더 두렵게 생각합니다. 가장 가까운 사람조차 기억하지 못 하며, 현재로선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어 한 번 걸리면 되돌릴 수 없는 아주 무서운 병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 인구수는 현재 약 5천만명의 이르며, 2030년에는 7,800만 명, 2050년쯤에는 약 1억 5,200만명으로 지금보다 3배 넘게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날이 갈수록 치매 환자 수는 급속도로 늘어고 발병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어 치매는 이제 누구에게도 자유로울 수 없는 질병이 되어버렸습니다, 때문에 평소에 치매를 예방하는 습관도 중요하지만 평소 신체적 증상을 잘 살펴, 치매를 예견하는 초기 증상은 아닌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기억장애나 언어장애, 성격변화 등의 다양한 증상이 있지만 우리가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한 증상이 몇 가지 있다고 합니다.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 증상들과 치매를 예방해주는 식재료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 증상들
1. 귓불 주름
귓불에 대각선 모양의 주름이 있다면 치매 가능성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최근 경희의료원과 삼성의료원의 공동 연구에 의하면 귓불에 주름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치매 위험도가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미국내과저널(AJM)에서도 급성 뇌졸중으로 입원한 환자 241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무려 78.8%에서 이와 같은 귓불 주름이 발견됐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귓불에서 주름이 발견되는 것은 귀속에 들어있는 탄력 섬유질이나 혈액을 공급해주는 미세혈관들의 상태에 따라서 귓불 주름이 깊게 잡힐 수 있다고 합니다 귓볼 주름이 깊은 경우라면 탄력섬유질이나 미세혈관의 혈액순환 장애가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것이 결국 심장 혈관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며 최근에는 뇌혈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논문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귓볼 주름은 우리가 자고 일어났을 때 베개에 의해 생긴 주름일 수 있지만 치매를 의심할 수 있는 주름은 가볍고 일시적인 주름이 아닌 깊고 명확하게 잡힌 주름만 해당합니다. 만약 귓불에 주름이 발견되었다면 전문의를 찾아가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2. 눈에 노란색 반점
어느 날 갑자기 눈에 노란색 반점이 발견되었다면 치매 전조증상으로 의심해봐야 합니다. 캐나다 퀸즈 대학교 연구팀이 60~92세 성인 11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25.4%에서 눈에 노란색 반점이 발견되었는데, 2년 뒤 이들을 다시 한번 검사했더니 노란색 반점의 크기가 더 넓어지고 그 수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러한 증상은 눈 속의 노폐물인 '드루젠'이 원인이라고 하는데 지방과 칼슘이 결합해 생긴 노폐물의 일종인 침전물로 노화와 함께 망막에 쌓이면서 노란색을 띠게 됩니다. 뇌 중추신경계의 한 부분인 망막이 '드루젠'으로 인해 혈관이 두꺼워지고 혈류의 흐름이 줄어들면 뇌로 흐르는 혈류 또한 저하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이 알츠하이머 치매를 일으키는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연구팀은 눈 검사를 통해 알츠하이머를 예측하는 것이 뇌를 검사하는 것보다 저렴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면서 눈에 안 보이던 노란 반점이 많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면 정확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3. 잠꼬대와 수면시간
치매 초기 증상인 잠꼬대는 일반 잠꼬대와는 다릅니다. 일반 잠꼬대는 잠을 잔 뒤 3시간 이내 발생하며 말만 하고 행동이 적은 것이 특징이지만, 치매 위험이 있는 잠꼬대는 주로 노인층에서 늦은 새벽 시간에 발생되고 소리를 지르거나 팔다리를 휘젓는 등의 과격한 행동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보통은 잠을 자면 뇌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뇌간 속 운동 마비 조절 부위가 작동해 팔 다리 근육이 마비되어 꿈을 꿔도 신체 움직임 없이 숙면을 취하는 것이 정상입니다 하지만 파킨슨병이나 치매와 같이 뇌에 문제가 발생하면 내간의 흑질이라는 부위에서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가 손상돼, 운동 마비 조절에 문제가 생겨서 잘 때 심한 잠꼬대와 같은 과격한 행동이 나타나게 됩니다. 또한 늘어난 수면시간도 치매 전조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기용 교수팀이 60세 이상 노인 2893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누워서 잠들 때까지 30분 이상 걸리는 사람은 30분 미만 보다 인지기능이 저하될 위험이 40% 높았으며 총 수면시간이 8시간 이상인 노인도 8시간 미만인 노인보다 인지기능 저하위험이 70%나 상승했다고 합니다. 특히 이 같은 수면 패턴이 4년 동안 지속되거나 잠들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점차 늘어난 사람들은 인지기능 저하위험이 두 배로 치솟았다고 하는데요 따라서 수면 중에 나타나는 증상이나 수면 패턴에 변화가 생겼다면 뇌 건강에 문제가 생겼을 수 있으니 정확한 검진을 받아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4. 후각손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대 연구진이 노인 728명을 대상으로 치매와 후각 기능에 관련 연구를 실시한 결과 치매 전 단계인 경도인지장애 때부터 후각 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해 치매로 이행되면서 더욱 나빠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으며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대학 의대에서도 70대노인 1794명을 대상으로 최장 10년에 걸쳐 진행한 추적조사에 의하면 후각 기능이 10% 떨어질 때마다 치매 위험이 19%씩 높아진다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 물질로 알려진 '베타밀로이드 단백질'이 중추신경계뿐만 아니라 후각상피 속 후각신경세포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쳐 후각의 기능을 악화시킨다고 밝혔는데요 후각 신경은 코를 통해 흡입된 냄새 입자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뇌로 보내는 작용을 하는데 알츠하이머 치매 등으로 인해 후각신경이 손상되면 냄새가 잘 느껴지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냄새를 맡는데 어려움이 있다면 치매 전조 증상임을 의심해 보시고 정확한 검진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치매를 예방해주는 식재료
1. 강황
실제로 카레를 가장 많이 즐겨 먹는 인도는 치매 환자가 세계에서 가장 적은 나라에 속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들 중 약 10%가 침매를 앓고 있는 것에 반해 인도는 치매 발병률이 1% 밖에 되지 않는 놀라운 보고도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인도가 다른 나라에 비해 치매 발생률이 낮은 이유에는 카레 속 '커큐민'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는데요 강황 속 커큐민 성분의 강력한 항산화 작용이 치매를 유발하는 독성물질 베타밀로이드가 뇌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주며 혈관성 치매를 유발시키는 뇌염증을 개선하는데도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강황의 커큐민은 건강상 효능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먹었을 때 몸에 흡수되는 양이 1% 밖에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후추와 함께 드시는 것이 좋은데요 미국 텍사스주립대학에서 진행된 연구에 의하면 강황의 커큐민과 후추의 피페린 성분을 함께 섭취할 경우 흡수율이 무려 20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강황가루를 물이나 우유 한 컵에 1티스푼 정도 넣고 아주 약간의 후추를 타서 먹어도 좋으며, 커피에 넣고 드셔도 아주 좋습니다. 밥을 지을 때 강황을 넣어 만든 강황밥과 후추를 첨가한 반찬을 함께 드신다면 더욱 건강한 식단이 될 수 있습니다.
2. 호두
호두는 미국 식품의약국이 식품기능성을 인증한 최초의 천연식품으로, 뇌신경세포의 60%를 구성하는 불포화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인 알파리놀랜산(ALA)이 풍부해서 뇌에서 기억과 인지지능을 관장하는 해마에 베타아밀로이드가 축적되는 것을 억제하여 치매에 예방을 돕는 식품입니다. 2014년 '영양, 건강, 노화 저널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에 실린 연구논문에 따르면 나이에 상관없이 호두를 더 많이 먹은 사람이 인지 수행능력 검사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뉴욕 주립발달장애 연구소에서도 동물실험을 통해 호두가 치매 위험을 감소시키고 발병을 억제하거나 치매에 진행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실험 당시 쥐들이 매일 먹은 호두의 양은 사람으로 치면 28g~42g으로 4분의 1컵을 조금 넘는 양에 해당합니다. 뇌 건강을 위해서라면 견과류를 꾸준히 드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