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당장 알아야 할 정보11

치매를 예측할 수 있는 신체적 증상 지금의 사람들은 치매를 암보다도 더 두렵게 생각합니다. 가장 가까운 사람조차 기억하지 못 하며, 현재로선 뚜렷한 치료 방법이 없어 한 번 걸리면 되돌릴 수 없는 아주 무서운 병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 인구수는 현재 약 5천만명의 이르며, 2030년에는 7,800만 명, 2050년쯤에는 약 1억 5,200만명으로 지금보다 3배 넘게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날이 갈수록 치매 환자 수는 급속도로 늘어고 발병 연령 또한 낮아지고 있어 치매는 이제 누구에게도 자유로울 수 없는 질병이 되어버렸습니다, 때문에 평소에 치매를 예방하는 습관도 중요하지만 평소 신체적 증상을 잘 살펴, 치매를 예견하는 초기 증상은 아닌지 체크해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기억장애나 언어장애, 성격변화 등.. 2023. 2. 14.
퇴직연금 그대로 두면 억대로 손해본다 정년이 늘어나며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다. 우리의 퇴직연금은 안녕한가요??? 1. 퇴직연금의 종류 ① DB형 : 확정급여형 퇴직시 받을 급여가 근무기간과 평균임금에 의해 사전에 확정되어 있는 퇴직연금제도 ※계속근로연수⨉퇴직전 3개월간 월 평균임금 운영주체 : 회사 (수익, 손실, 모두 회사 책임) ② DC형 : 확정기여형 기업이 매년 근로자 연간임금의 1/12 이상을 근로자 퇴직계좌에 예치하는 퇴직연금제도 운영주체 : 개인(수익, 손실, 모두 개인 책임) 2. 3. DB형으로 가입했다가 DC형으로 전환했는데, 수익률이 폭망해서 다시 DB형으로 가고 싶다... ※ DC형에서 DB형으로 전환, 절대 불가! 운용수익이나 손해를 회사에 전가할 수 없기에 불가, 4. 임금피크제를 앞두고 있는 D.. 2023. 2. 12.
근로장려금 1️⃣ 가족 중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신청 - 근로장려금은 한 가구당 한 명에게만 지급, 가구 내 두 명이상 신청조건이 된다면, 가족 중 총급여액이 가장 많은 사람 또는 가족 중 해당 소득세 과세기간의 근로장려금이 가장 많은 사람이 신청하고 받는 것이 좋음 근로장려금 신청요건 ※공통 재산요건: 가구원이 소유하고 있는 재산합계액이 2억 미만이여야 함. 2️⃣ 세대분리 - 근로장려금은 한 가구당 한명만 신청하고 수령할 수 있음 세대주를 분리하면 부모님의 소득을 합산하지 않기 때문에 수급대상 지정에 유리, 세대주 분리 후 근로소득이 있다면 따로 근로장려금을 받는것이 가능 ※ 단, 주소지가 서로 달라야하며 세대분리 후에 같은 거주지에 거주하면 안됩니다. 💥 반면, 부모님이 거주하지는 않지만 부모님 소.. 2022. 12. 28.
'마법통장' 세금도, 건보료도 없는 예금 상품 1. 예금 수령 시 세금 15.4% (국세 14% + 지방세 1.4%) 원천징수 2. 연 2천만 원 넘는 금액은 금융소득종합과세 (여기는 ELS-2년치 혹은 3년치 이자를 한꺼번에 수령-포함) 3. 연 1천만 원 넘는 금융소득에는 건보료 부과 위 사항은 일반적인 금융상품에 해당되는 것 입니다. 하지만,,, 💥 이자소득에 대해 과세하지 않는 절세 상품 -보험 상품 아닌 금융기관의 예금- 사업비도 없고 만기시 이자와 원금 찾을 수 있어. 1️⃣ 상호금융기관(새마을금고, 수협, 신협) 등에서 운영하는 예금들, 즉 출자금, 예탁금 각각 1천만 원과 3천만 원 씩 비과세 (2022년 12월 31일 까지,,,,,이지만,,, 2025년 12월 31일 까지 3년 연장) ※ 과세 되지 않는 이자 소득에 건보료 매기지 못.. 2022. 12. 26.